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애드센스 광고 티스토리 자체 광고 보다 상단에 애드센스 광고 넣기

by momo'sdad 2024. 1. 11.

애드센스 광고 티스토리 자체 광고 보다 상단에 애드센스 광고 넣기

 

 

 

 

2023년 6월 티스토리 자체 광고 공지사항

 

 

올해 6월부터 티스토리에서 상단과 하단에 자체 광고를 넣으면서 기존의 애드센스를 이용해 수익을 창출하던 블로거들의 수익을 줄어들게 했다. 

 

 

포스팅의 상단광고는 애드센스 전체 수입의 20%를 차지 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그런데 애드센스 보다 상단과 하단에 티스토리 자체 광고를 넣으므로써 애드센스의 수익을 뺏는 구조가 되어버린 것이다.

 

 

 

위와 같이 구글 애드센스 자동광고를 넣거나 수동광고를 통해 광고를 삽입하면 위가 티스토리 자체광고 아래가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뜬다. 정책상 티스토리의 자체 광고를 누락할수는 없다.

 

 

그래서 우리의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티스토리 자체 광고보다 위쪽에 올려 최상단으로 광고를 위치해줌으로써 빼앗아간 수익을 되돌려보자.

 

 

 

 

 

 

티스토리 자체광고보다 상단에 애드센스 광고 넣는 방법(북클럽 스킨, 포스터 스킨)

 

1. 광고코드 복사

 

디스플레이 광고코드 생성이 먼저 되어 있어야 한다. 광고 코드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서 디스플레이 광고 코드를 생성하면 된다.

 

 

구글 애드센스 본문 수동 광고 삽입 방법

1. 구글 애드센스 본문 수동 광고 삽입 방법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 받은 후 일일히 광고를 설정하기 귀찮아서 자동 광고 설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자동광고와 수동광고로 광고 타입, 광고

develop-jw.co.kr

 

 

 

 

1) 구글 애드센스에 접속한 다음 로그인 후 홈 화면의 왼쪽 메뉴에서 광고를 클릭하고 생성된 디스플레이 광고 코드가져오기를 누른다.

 

 

 

 

 

2) 아래의 빨간 박스의 광고코드를 복사하거나 아래의 복사하기를 누른다.

 

 

 

2. 북클럽, 포스터 스킨 동일

 

1)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의 관리페이지로 들어간 다음 [꾸미기 - 스킨편집]을 누른다.

 

 

 

 

2) 스킨편집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의 html편집을 누른다.

 

 

 

 

 

3) html 편집화면에서 [ Ctrl+F ]를 눌러서  s_tag_label 를 입력해준다.

 

 

 

 

 

4)  <s_tag_label>의 위쪽에 <divclass="entry-content">를 찾고 위쪽 빈공간에 복사한 디스플레이 광고 코드를 아래와 같이 <div>코드 사이에  "<div> 디스플레이 광고 코드 </div>"형태로 넣어준 다음 적용을 누른다.

 

 

 

 

 

5) 적용을 한후 자신의 블로그 관리창을 다시 들어가서 [ 수익 - 애드센스 관리 ]를 클릭하고 애드센스 관리 화면의 광고 설정에서 본문상단 광고를 사용안함으로 바꿔준다.

 

 

 

 

 

6)  광고 설정까지 다했다면 자신의 포스팅을 들어가보면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티스토리 자체 광고보다  상단으로 올라간것을 확일 할 수 있다.

 

 

 

 

 

 

 

 

 

※  자신의 애드센스 광고인지 티스토리 자체광고인지 확인하는 방법

 

 

1) 확인하려는 광고를 오른쪽 클릭해서 광고의 링크 주소를 복사한다.

 

 

 

 

 

2) 메모장을 열고 주소를 붙여 넣기하면 아래와 같이 주소가 길게 나오는데 "ca-pub-"의 형태를 찾고"ca-pub- [자신의 PUB코드 ]"에서 PUB 코드를 확인하면 된다.

 

 

PUB 코드는 구글애드센스의 홈화면의 왼쪽메뉴에서 [ 계정 - 설정 -계정정보 ]를 들어가서 게시자 ID의 PUB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3) 티스토리 자체 광고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링크주소를 복사한 뒤  메모장에 주소를 넣어보면 링크 주소의 앞부분에 https://ka.ad.daum.net/라고 되어 있어서 티스토리의 광고임을 알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