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Developer 사용법과 hr 계정 접속
SQL Developer를 시작하기전 기본 계정인 hr을 사용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
- CMD창을 키고 sqlplus를 입력.
-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관리자 아이디로 접속.
user-name : system
password : **** (오라클 설치시 설정한 비밀번호)
- hr계정이란 오라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학습용 계정인데, hr 계정을 사용하기 위해서 락을 풀어줘야 한다.
- hr 계정 잠금 해제하기 시작.
- https://develop-jw.co.kr/entry/Oracle-SQL%EB%A1%9C-%EA%B3%84%EC%A0%95-%EC%83%9D%EC%84%B1%ED%95%98%EA%B8%B0System-%EC%95%84%EC%9D%B4%EB%94%94-%EC%9D%B4%EC%9A%A9 (오라클 계정 생성 시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Oracle SQL로 계정 생성하기(System 아이디 이용)
Oracle SQL로 계정 생성하기(System 아이디 이용) * 준비할것 : 오라클 * 생성법 1. 콘솔창에 " sqlplus "을 입력한다. - sqlplus란 : SQL문을 실행시키고 그 결과를 볼 수 있도록 Oracle에서 제공하는 툴이다. -
develop-jw.co.kr
![](https://blog.kakaocdn.net/dn/ewQ0rE/btsAL32qQ48/eluKon2f46vsaTioeb2VO1/img.png)
- 기존 포스팅과 같이 관리자 계정을 사용해야 한다. 먼저 sql 을 사용하기 위해 "sqlplus"를 입력한다음 관리자 계정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 그리고 아래와 같이 입력해 준다.
![](https://blog.kakaocdn.net/dn/ceue2m/btsAL2PZkLG/kOKpKuhBT54WPZ7KbqKJdk/img.png)
* alter user hr account unlock; // hr 계정의 락을 해제한다. "alter"는 데이터베이스의 객체를 변경할 수 있는 DDL언어 이다.
* alter user hr identified by hr; // hr 계정의 비밀번호도 hr로 ....
* conn (connection의 약자) hr/hr // 잠금해제와 비밀번호가 정상적으로 바뀌었고 접속이 되는지 확인
- 여기까지가 hr 계정의 잠금 해제법이다.
SQL Developer 사용법
- 위에서 잠금해제한 hr 계정으로 접속연결.
- 저번에 설치한 SQL Developer를 실행시키고 " 수동으로 접속 생성 "을 클릭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lQzn6/btsALbUesIw/7RowkcKU1ysC06ktU1BHp1/img.png)
- 새로 만들기 창이 뜰텐데 아래와 맞게끔 입력해 주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nYjQg/btsAOTjWQak/O18P1A3xt1tW7KKKpgMKf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sFJbM/btsAMoyqV93/Ofr49Y1OWgh7VkhKrAugh0/img.png)
- 테스트를 누른다. (좌측 하단 상태 라벨에 "성공" 이 뜨면 완료)
![](https://blog.kakaocdn.net/dn/bYxgnE/btsAL2I40G8/e3zPOQlF8o5kJnRgfl0470/img.png)
- 그리고 접속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은 hr 계정으로 DB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cnONXF/btsANLs6JM3/MzHrrzqOuOgWZLkuwgRR4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oBZws/btsAM1wcWD4/oAHTCApHUhYWwB3Ha88PHk/img.png)
간단한 쿼리문 실행
새로 만들었던 계정도 접속이 가능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x2BDf/btsALUkmd4f/KsbXKHatksghxOGvWKk7U0/img.png)
새로 만든 계정 접속
여기까지가 hr 계정 잠금해제와 hr 계정으로 SQL Developer 접속하기이다.
사용법
SQL Developer 메뉴얼 (기능들 소개)
- 테이블 생성(GUI, 스크립트)
![](https://blog.kakaocdn.net/dn/8w3Sx/btsALHL0tFd/ik7wYKHUkBBdDRwROodZ31/img.png)
GUI 방법
![](https://blog.kakaocdn.net/dn/bAL3pG/btsANvDUXRK/5PhI8QM5eGCv5760ahi2b1/img.png)
스크립트 방법
메뉴바 설명
![](https://blog.kakaocdn.net/dn/pN7mn/btsAOM6kJiF/yJaSHIO86ulVZTVhyIbf7K/img.png)
메뉴바(worksheet)
- 메뉴바 구성요소(순서대로)
범주
|
명령
|
단축키
|
Worksheet
|
명령문 실행
|
F9, Ctrl-Enter
|
Worksheet
|
스크립트 실행
|
F5
|
Worksheet
|
계획 설명(E)...
|
F10
|
Worksheet
|
자동 추적(A)...
|
F6
|
|
SQL 튜닝 권고자
|
Ctrl + F12
|
Worksheet
|
커밋(O)
|
F11
|
Worksheet
|
롤백(R)
|
F12
|
Worksheet
|
비공유 SQL 워크시트
|
Ctrl-Shift-N
|
Worksheet
|
지우기(C)
|
Ctrl-D
|
Worksheet
|
내역(H)
|
F8
|
Worksheet
|
대문자/소문자/첫 자를 대문자로
|
|
![](https://blog.kakaocdn.net/dn/GOf8b/btsAMV30nKn/XGoMqId4gZX0kabz89ZEP1/img.png)
현재 명령어만 실행되고 실행한 쿼리에 대해 질의결과를 보여준다.
스크립트 실행
![](https://blog.kakaocdn.net/dn/FvHRg/btsANNR4iBE/qpZ5VovYaliIbCMQFHHNLK/img.png)
시크립트 실행 결과를 출력해 준다.
계획설명
![](https://blog.kakaocdn.net/dn/1jZsb/btsAORGuDXU/782dkXK5QaeWV9bfjCMRDk/img.png)
Sql 질의를 실행하기 전 나의 질문을 어떻게 실행 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
자동추적
Sql 질의를 실행한 후 나의 질의문을 Oracle이 어떻게 실행하였는지를 보여줌.
튜닝 권고자
![](https://blog.kakaocdn.net/dn/biX6Kb/btsAMW9C8Gj/VA64k4Ud7SWASdCVvTKKv1/img.png)
문제가 되는 쿼리를 삽입하고 튜닝할 결과가 있다면 인덱스 및 각종 구문에 대해서 권고를 해준다.
그럼 해당부분을 수정할 지 여부를 선택하자 튜닝 권고에 나왔다고 무조건 따를 필요는 없다.
권고대로 하시면 해당 쿼리는 무조건 빨라진다고 한다.
커밋과 롤백
DML 작업을 한 후 COMMIT을 해야 테이블 작업에 대한 수행이 완료된다. ROLLBACK은 이전 COMMIT한 곳까지만 복구시켜준다.
(참고 : kimsg.tistory.com/258) / (참고 : wikidocs.net/4096)
비공유 워크시트
![](https://blog.kakaocdn.net/dn/dldOmI/btsAM5FqjDq/6hZyiD3rHyGx43Vj7QeT30/img.png)
말 그대로 공유가 되지 않는건가 보다 ..
지우기
![](https://blog.kakaocdn.net/dn/ZNwYV/btsANMyPiHu/7inwgQ9yuMGYfqiwT8WGD1/img.png)
워크시트의 쿼리문을 지우는 역할을 한다.
SQL 내역
![](https://blog.kakaocdn.net/dn/bmB15P/btsAOTqMHm5/bvotS9gNxmXbxP3PdNT8S1/img.png)
SQL 쿼리 실행 내역을 보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bz9uKN/btsAL1QXnqF/NVV3KrENe0Z4qI5uGfd7FK/img.png)
대문자/소문자/첫 자를 대문자
![](https://blog.kakaocdn.net/dn/bjkBXM/btsAORzKqXl/SSEcrey6kXZxlZssedHEPK/img.png)
대문자는 소문자, 소문자는 대문자, 첫 자가 소문자면 대문자로 바꿔주는 기능이다.
'개발 공부 > SQL,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SQL로 계정 생성하기(System 아이디 이용) (0) | 2023.11.23 |
---|---|
SQL 조건문 (0) | 2023.11.23 |
SQL 기본 정리 (0) | 2023.11.23 |
[Oracle/DBeaver] Java heap space Error, Unhandled event loop exception(Java heap 공간 메모리 늘리기) (0) | 2023.11.22 |
[MYSQL] No database selected ERROR 해결법 (0) | 2023.11.22 |